전체 글(25)
-
RE100 관련 스터디
유럽 최대규모 연기금 운용사인 APG는 삼성전자에 대하여 'RE100'에 가입할 것을 요구함. 'RE100' (Renewable Energy 100)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을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풍력, 조력, 태양광 등) 100%로 전환하기로 하는 캠페인 이미 애플, TSMC 등 삼성전자의 경쟁업체들은 RE100 참여를 선언하고, 글로벌 공급업체들까지 시행을 위해 움직이고 있음. 게다가 삼성전자가 RE100 이행을 요구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님. 삼성전자, 글로벌 투자자 압박에도 RE100 참여 안하는 이유는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세계적으로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 강조되면서 삼성전자[005930]도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www.yna.co.kr ..
2022.08.10 -
관광산업은 언제쯤 살아날까?
내가 매일 출근을 하며 돌아다니는 곳들은 서울에서 관광객들이 많이 유입되는 곳임. 우선 아침 저녁으로 서울역 KTX 역사를 지나 다님. 회사에서는 숭례문이 바라다 보이며 점심시간에는 산책을 함. 남산, 남대문시장, 덕수궁, 시청, 명동, 광화문 등. 한 달에 2번 정도는 여의도-마포쪽을 나가기도 함. 이 정도면 서울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모이는 대부분의 장소를 다니고 있는게 아닐까 싶음. 약 두 달전부터 외국인들의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보게 됨. 7월부터는 휴가철을 맞아서인지 외국인들이 정말 많아짐. 아직 코로나 이전만큼은 아니지만 상당 부분 회복되는 느낌임. 日·대만·마카오 관광객, 비자 없이 한국 방문 가능…8월 한시 허용 오는 4일부터 이달 31일까지 일본·대만·마카오 관광객의 ..
2022.08.10 -
적정주가를 파악하는 방법(2편-비재무적 가치)
주가는 시장참여자들의 매매행위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이며, 주가는 항상 해당 기업의 적정가치 내에서 움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전제하고 이 글을 읽기 바람. 1편 재무적 가치에 이어, 2편에서는 비재무적 가치를 판단하는 요소들에 대해 이야기 해 봄. 2. 비재무적 가치 2-1. 산업적 특성 파악 산업별 발전단계는, 성장기-성숙기-정체기-쇠퇴기로 구분됨. 싸이클별 대표적인 업종을 보면 성장단계는 IT산업, 성숙단계는 내연자동차, 정체단계는 철강, 쇠퇴기는 섬유산업 등을 듬. 산업적 특성은 재무적 가치(PER, PBR 등)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지만, 기업에 대한 분석을 할 때 해당 산업의 발전단계가 어디에 있는 산업인지 파악하는 것은 해당 주식의 적정 주가 범위를 판단하는 데 반드시 필요함. 예를 들면, 로..
2022.08.10 -
적정주가를 파악하는 방법(1편-재무적 가치)
주가는 시장참여자들의 매매행위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이며, 주가는 항상 해당 기업의 적정가치 내에서 움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전제하고 이 글을 읽기 바람. 회사의 적정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서 생각해야 함. 재무적인 지표를 보는 내재가치(=재무적 가치)와 재무적 요소 외의 것을 고려하는 비재무적 가치로 부르겠음. 1. 재무적 가치(내재가치) 내재가치(자산 가치+수익 가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재무적 관점의 가치를 말함. 내재가치는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로 구분할 수 있음. 자산가치는 말그대로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의 가치를 숫자로 표현한 것이고, 수익 가치는 회사가 얼마나 이익을 내는지의 관점임. 지금부터 삼성전자와 NH투자증권의 내재가치를 가지고 비교하며 설명하겠음. ..
2022.08.10 -
블록딜이란 무엇인가(Feat. 카카오페이)
6월 8일 하루동안, 카카오페이가 15.6% 하락함. 하락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블록딜'임. 블록딜이 뭐길래 이런 급락이 발생했는지 알아 봄. 1. 블록딜이란 블록딜(Block Deal)은 '시간외대량매매'라고도 함. 이름처럼 대량의 지분을 블록(덩어리)으로 거래하는데 정규 주식시장 시간 내 거래가 아니고, 시간외 거래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임. 2. 블록딜 방식 실체 체결 전, 매수자와 매도자가 체결수량과 체결가격을 협의하여 정하고 정해진 날짜의 (장전, 보통 장후)시간외 거래에서 실행됨. 3. 블록딜의 구조 대량의 지분을 한 번에 거래하기 때문에 일정한 지분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 또는 대량보유자(5%이상)가 매도자가 됨. 중간에 매도인과 매수인을 연결해주는 브로커(중개인)가 있으..
2022.08.10 -
공매도, 정말 폐지가 답일까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하락하면 등장하는 단골 손님 '공매도' 제도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공매도가 뭔지 대부분 알고 있겠지만, 기본적인 사항부터 설명해 보겠음. [공매도] 없는 주식을 빌려서 팜(나중에 사서 갚음) 선 대차, 후 (매수)상환 예를 들어 보겠음. A라는 기관투자자가 앞으로 삼성전자의 주가하락을 예상하고, 2022년 2월7일에 대차 Pool (증권사 보유 대차 물량)에서 삼성전자 주식 1000주를 빌림. *대차 Pool : 주식 대여에 동의한 주주의 물량 빌린 주식을 매도(공매도)한 후, 주가하락을 기다림. 공매도 투자자는, 대차기간 동안 대차이자를 지급함. 2022년 6월 7일, 공매도의 소원대로 삼성전자 주식이 4개월만에 -10.3% 하락함. 이제 1000주를 현물..
2022.08.10